Deinterleaver (2) 썸네일형 리스트형 Deinterleaver 심화 - mod 1536 https://github.com/pyong-1459/Deinterleaver-2022-mod1536 GitHub - pyong-1459/Deinterleaver-2022-mod1536 Contribute to pyong-1459/Deinterleaver-2022-mod1536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이번에도 K대 프로젝트로, 예전에 설명한 deinterleaver에서 mod 변수가 2의 승수가 아닌 경우를 구현했다. 이번 벡터 파일은 0~1535 까지의 A~H 총 8개 데이터를 interleave한 결과다. rule은 아래와 같다. A: Out(8w+0) = A((w + 0) mod 1536) B: Out(8w+1) = B(.. 간단한 Deinterleaver Interleaving은 연속적인 데이터를 섞어주는 것을 의미한다. Interleaver를 쓰는 이유는 무선 데이터 전송 시에 연속적인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를 섞음으로써 시간 상이나 주파수 상에서 에러를 분리하기 위해서다. 아래의 예시처럼 burst error가 생기는 경우 에러를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에러가 분산되면 에러를 정정(error correcting)하기 쉬워진다. 5g나 lte에서도 interleaver를 사용한다. Deinterleaving은 interleaved data를 다시 순서대로 정렬해주는 것이다. 오늘은 Verilog로 Deinterleaver를 만드는 법을 다뤄보고자 한다. 2048개의 데이터를 4개의 묶음으로 interleaving하는 것은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 이전 1 다음